컴퓨터/TIP

윈도우 10, 7 가상 메모리 설정으로 메모리 부족 해결하는 방법

대웅녀 2018. 2. 28. 18:32
반응형

요즘 널리 쓰이고 있는 태블릿 PC 많이들 사용하셨을 것입니다. 각 가정마다 하나씩은 꼭 있는 태블릿 PC 지만 항상 고사양의 프로그램을 돌리기에는 부족한 메모리 때문에 불편을 겪으셨을 것입니다. 요즘 나오는 고사양 프로그램들이 기본적으로 4기가 정도의 메모리를 지원하고 또 고사양의 게임 등이 많이 나왔기 때문입니다. 메모리 부족은 메모리의 일정 공간이 확보가 안돼서 생기는 현상이어서 일반적인 데스크톱이나 노트북은 메모리를 추가 장착하면 해결이 되지만 태블릿 PC는 추가 장착이 불가능하여서 해결이 되지 않습니다.

 

또한 최근에 나온 태블릿 PC 같은 경우에는 확장성을 고려하여서 메모리가 기본 4기가 정도이지만 조금 지난 2013년 쯤에 출시된 태블릿 같은 경우에는 2기가 정도의 제품이 많을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메모리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SSD 나 하드디스크의 일정 공간을 메모리 역할로 바꾸어서 메모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하지만 단점은 원래의 메모리에 비하여 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SSD라고 할지라도 메모리에 비해서는 속도가 매우 떨어 직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부터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메모리 부족 해결 방법

 

 

이 원리는 페이징 파일 설정을 통한 가상 메모리 기술입니다. SSD 나 하드디스크의 일정한 공간을 메모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기술이 가상 메모리 기술로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OS인 윈도우에서 기본적으로 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습니다. 윈도우10 과 7의 설정 방법이 같기 때문에 한꺼번에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윈도 시작 화면에서 '제어판'으로 클릭 후에 '시스템 및 보안', '시스템'으로 들어가 줍니다. 또는 바탕화면에 내 컴퓨터 아이콘을 우 클릭한 뒤에 속성으로 들어가셔도 됩니다.

'시스템'에 들어간 후에 왼쪽 메뉴의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고급 시스템 설정'으로 이동합니다. 그 후 '고급 시스템 설정'에서 고급을 클릭하신 뒤에 시각 효과, 프로세서 일정, 메모리 사용 및 가상 메모리라고 써져 있는 첫 번째 상자의 설정으로 이동을 합니다. 그 후 성능 옵션이라는 창이 뜨는데 그곳에서 고급 텝에 들어간 후 페이징 파일 크기 하단에 있는 변경이라는 버튼을 클릭한 뒤 '모든 드라이브에 대한 페이징 파일 크기 자동 관리' 텝에 체크박스를 해제하면 가상 메모리 사용이 가능합니다.

'사용자 지정 크기'에 체크를 한 후에 자신의 SSD 용량에 맞게 설정을 해주시면 됩니다. 태블릿 PC에서 추천하는 설정은 4096MB로 이는 4GB의 메모리를 뜻합니다. 만약 8GB로 설정을 하면 8192를 입력해 주면 설정이 가능합니다. 아무리 SSD라도 가상 메모리이기 때문에 메모리 부족 현상만 해결이 가능하지 실제 메모리 정도의 속도가 나오지 못합니다. 하지만 조금 더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