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에는 사진과 동영상이 점점 고화질로 변하면서 점차 용량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노트북과 몇 명의 컴퓨터 들은 SSD만 장착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저장공간이 항상 부족하신 분들이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컴퓨터 바이러스나 어떠한 일 때문에 포맷을 하시는 분들도 있으실 것입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간단한 윈도우 10 설정으로 포맷을 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를 조금만 아시는 분들이라면 포맷이 무엇인지 알 것입니다. 포맷이란 쉽게 말해서 컴퓨터의 모든 자료를 지운다는 의미입니다. 이 포맷은 2가지로 나뉘는데 '내 파일을 남기고 모두 지운다' 와 '내 파일도 모두 삭제한다'로 나뉩니다.
포맷을 하기 위해서는 하드디스크의 데이터를 모두 지우고 윈도우를 다시 설치를 하였지만 요즘에는 윈도우의 기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서 편리하게 포맷을 할 수 있습니다. 지금도 윈도우를 다시 설치하는 포맷 방법을 쓰고 있지만 그것은 특별한 경우에만 쓰이고 보통은 윈도우 초기화라는 것을 통하여 포맷 합니다.
윈도우 초기화를 하는 방법은 먼저 윈도의 시작 버튼을 클릭한 뒤에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으로 이동합니다. Windows 설정은 제어판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Windows 설정 안에서 '업데이트 및 보안' 텝에 들어가시면 왼쪽 메뉴에 복구라는 텝을 클릭해 주시면 됩니다. 복구 항목으로 이동하면 '이 PC 초기화'라는 버튼이 보이는데 이것을 클릭하면 편하게 초기화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초기화를 진행하면 선택 메뉴가 나옵니다. '내 파일 유지' 와 '모든 항목 제거' 가 나오는데 이 중에 '내 파일 유지'는 윈도우의 모든 설정을 삭제하지만 내 PC 의 다운로드 파일은 모두 보존됩니다. '모든 항목 제거'는 모든 PC 자료를 삭제하고 초기의 윈도우로 진입을 하는 것입니다.
위쪽의 '내 파일 유지'를 클릭하면 이 PC를 초기화할 준비 완료라는 메시지와 함께 앱과 프로그램이 모두 제거되고 설정이 기본 값으로 바꿔지지만 개일 파일은 제거하지 않고 Winddows를 다시 설치한다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그 후 다시 설정을 눌러주시면 진행됩니다.
아래의 '모든 항목 제거'를 클릭하면 '내 파일만 제거' 와 '파일 제거 및 드라이브 정리'로 나뉘는데 '내 파일만 제거'는 자신의 파일만 삭제를 하는 것이고 '파일 제거 및 드라이브 정리'는 가장 최후의 윈도우 10 파일 초기화 방법이므로 컴퓨터 바이러스 감염이나 중고거래를 할 시에 추천하는 방식입니다.
간단한 윈도우 내부 프로그램으로 초기화를 하면 쉽게 포맷이 가능하지만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여 포맷전 백업은 필수로 해두신 다음 포맷을 하시기 바랍니다. 또 노트북 같은 경우에는 배터리의 용량을 확인하고 포맷 전 충전기를 연결하고 포맷을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컴퓨터 >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단한 CPU, 그래픽카드 온도측정 프로그램 HWMonitor 설치방법 (0) | 2018.03.05 |
---|---|
윈도우10 PC 원격제어 방법 2가지 (0) | 2018.03.05 |
윈도우 10, 7 가상 메모리 설정으로 메모리 부족 해결하는 방법 (0) | 2018.02.28 |
윈도우10 자동 업데이트 끄는 2가지 방법 (0) | 2018.02.27 |
윈도우 업데이트 파일 삭제후 컴퓨터 용량 늘리기 (0) | 2018.02.24 |